Home프로그램

프로그램

제22차 기본소득지구네트워크 대회

프로그램

참고 1. 세션 프로그램은 기본적으로 온라인-오프라인 하이브리드로 운영됩니다. 온라인으로만 운영되는 세션의 경우, 세션 그룹에 “(온라인)” 표시가 되어 있습니다.

참고 2. 모든 참가자는 지난 세션들을 다시보기 영상으로 볼 수 있습니다.

8월 23일 수요일

8월 23일 수요일

첫째 날
시간 & 강의실 세션명
9:00
ECC극장 로비
참가 등록
10:00 (1:00 GMT)
ECC극장
개회
사회: 이주희(이화여자대학교)
환영사
소병훈(국회기본소득연구포럼 대표), 정태호(민주연구원 원장), 용혜인(기본소득정책연구소 이사장), 한인정(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
축사
대회 소개: 백승호(가톨릭대학교)
헌사 — 김종철을 기리며: 이문재(시인)
개막 연설 1. 애니 밀러(영국 시민기본소득트러스트), “개막의 성찰”
개막 연설 2. 필리프 판 파레이스(루뱅대학교), “기본소득: 연대에 반하는 자유?”
12:00-14:00 점심
14:00-15:30 (5:00-6:30 GMT)
ECC극장
전체세션 1. 정치 속의 기본소득, 기본소득 속의 정치
좌장: 백승호(가톨릭대학교)
위르겐 데 비스펠레레(프라이부르크대학교), “기본소득 실험들: (지속되는) 정치적 약속을 보장하는 문제”
강남훈(기본사회), “탄소 중립과 기본소득”
루이즈 하그(요크대학교), “위기 시대의 기본소득의 정의와 실현가능성” (온라인)
15:30-16:00 휴식 (다과)
16:00-17:30 (7:00-8:30 GMT)
ECC극장
전체세션 2. 무조건적 기본소득과 공유부 배당
좌장: 고두갑(목포대학교)
가이 스탠딩(런던대학교 동양아프리카연구학교), “공유지 자본 기금 조성: 기본소득으로서의 공유지 배당”
서정희(군산대학교), “현실에서의 기본소득의 굴절과 위계”
8월 24일 목요일

8월 24일 목요일

둘째 날
Time & Room Session
10:00-12:00 (1:00-3:00 GMT)
ECC 극장
전체세션 3. 문턱에 선 기본소득: 정책, 실험, 입법
좌장: 유종성(가천대학교)
용혜인(기본소득당 국회의원), “대한민국 기본소득 정치의 도전과 과제”
마이클 터브스(전 미국 스톡턴 시장), “미국의 보장소득 운동과 도시 정치: 민권운동과 반빈곤운동의 맥락에서” (온라인)
스콧 샌턴스(휴머니티 포워드), “보장의 씨앗 뿌리기: 기본소득은 어떻게 미국에서 지역 파일럿과 프로그램을 통해 뿌리를 내렸는가”
에이다 마르티네스 티나우트(스페인 카탈루냐 주정부), “카탈루냐 파일럿 프로젝트 설계: 오늘날의 맥락”
에두아르두 수플리시(브라질 전 상원의원), “브라질에서 보편적 기본소득의 실시로 향해가는 발걸음”
12:00-13:30 점심
13:30-15:00 (4:30-6:00 GMT)
ECC극장
전체세션 4. 다중적 위기 시대의 기본소득
좌장: 이지은(중앙대학교)
조르헤 핀투(미뉴대학교), “유한성과 미래: 인간의 삶, 기본소득, 생태 위기”
금민(정치경제연구소 대안), “자본의 인공지능과 기본소득의 과제”
알마즈 젤레케(뉴욕대학교 상하이캠퍼스), “기본소득과 돌봄 위기”
15:00-16:30 (6:00-7:30 GMT) 개별세션 A
ECC극장 개별세션 1
B143 개별세션 2
B144 개별세션 3
B146 개별세션 4
16:30-17:00 휴식 (다과)
17:00-18:30 (8:00-9:30 GMT) 개별세션 B
B143 개별세션 5
B144 개별세션 6
B146 개별세션 7
ECC극장 개별세션 8
8월 25일 금요일

8월 25일 금요일

셋째 날
시간 & 강의실세션명
07:30-09:00 (22:30-0:00 GMT)개별세션 C (온라인)
개별세션 9
개별세션 10
09:00-10:30 (0:00-1:30 GMT)개별세션 D
B143개별세션 11
B144개별세션 12
B146개별세션 13
10:30-12:00 (1:30-3:00 GMT)개별세션 E
B143개별세션 14
B144개별세션 15
B146개별세션 16
12:00-13:00점심
13:00-14:30 (4:00-5:30 GMT)개별세션 F
ECC극장개별세션 17
B143개별세션 18
B144개별세션 19
14:30-16:00 (5:30-7:00 GMT)
ECC극장
전체세션 5. 한국의 기본소득
좌장: 알마즈 젤레케(뉴욕대학교 상하이캠퍼스)
이지수(군산대학교), “판동초 어린이 기본소득 실현과 의미”
서정희(군산대학교), “부산 청년기본소득 실험의 의미”
박웅두(농어민기본소득전국운동본부), “한국에서의 농민기본소득의 실현”
오준호(기본소득당), “한국 기본소득 운동의 정치적 도전”
16:00-16:30휴식 (다과)
16:30-18:00 (7:30-9:00 GMT)
ECC극장
전체세션 6. (라운드테이블) 기본소득 실험들: 실험의 목표, 맥락, 방법에 관한 비판적 검토
사회: 호베르투 메릴(미뉴대학교)
패널: 가이 스탠딩(런던대학교 동양아프리카연구학교), 사라트 다발라(기본소득지구네트워크), 이수미(라베른대학교), 이건민(서울대학교)
18:30-20:00 (9:30-11:00 GMT)개별세션 G (온라인)
개별세션 20
개별세션 21
개별세션 22
개별세션 23
20:00-21:30 (11:00-12:30 GMT)개별세션 H (온라인)
개별세션 24
개별세션 25
개별세션 26
8월 26일 토요일

8월 26일 토요일

넷째 날
시간 & 강의실세션명
09:00-10:30 (0:00-1:30 GMT)개별세션 I
B143개별세션 27
B144개별세션 28
B146개별세션 29
10:30-12:00 (1:30-3:00 GMT)개별세션 J
B143개별세션 30
B144개별세션 31
B146개별세션 32
12:00-13:00점심
13:00-14:30 (4:00-5:30 GMT)개별세션 K
ECC극장개별세션 33
B143개별세션 34
B144개별세션 35
B146개별세션 36
14:30-16:00 (5:30-7:00 GMT)
ECC극장
전체세션 7. 기본소득의 정의: 의미와 전망
좌장: 칼 와이더키스트(조지타운대학교 카타르캠퍼스)
애니 밀러(영국 시민기본소득트러스트), “오늘날 기본소득 정의의 개정을 위한 논거”
야마모리 도루(도시샤대학교), “기본소득의 정의에 관한 논의의 역사” (온라인)
16:00-17:30 (7:00-8:30 GMT)
ECC극장
폐회
사회: 김주온(BIYN)
대회 리뷰. 사라트 다발라(기본소득지구네트워크)
폐회 연설. 안효상(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 “현실 속의 기본소득은 어떻게 가능한가?”
제22차 기본소득지구네트워크 대회

개별세션 안내

8월 24일 목요일 15:00-16:30 (6:00-7:30 GMT)

CS 1. (한국어) 노동의 변화, 기본소득과 어떻게 만날까?

  • 좌장: 용혜인(기본소득당 국회의원)
  • 박정훈(라이더유니온), “플랫폼 노동”
  • 홍종민(알바연대), “초단시간 노동”
  • 전성신(사단법인 니트생활자), “니트, 일과 관계의 가치”
  • 최승현(기본소득당, 노무사), “변화하는 노동, 기본소득 정치의 방향”

CS 2. (영어) 현실에서 기본소득 프레이밍하기 1

  • 좌장: 김교성(중앙대학교)
  • 밀레나 코바스카야(브로츠와프대학교), “무조건적 기본소득에 대한 시민들의 지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 앨리그젠더 이미히(주쿄대학교), “돈을 프레이밍하기: 사회를 기술하기 위해 루만경제학을 활용하기” (온라인)
  • 텔레마크 마송-레시퐁(프랑스 사회과학고등연구원), “기본소득 실현에 필요한 연합을 위해 기본소득 정의를 명확히 하는 것은 얼마나, 어떤 이유로 필요한가?”
  • 테이스 레넨(틸뷔르흐대학교, 가톨릭루뱅대학교), “기본소득의 인기: 여론조사에 기반한 증거”

CS 3. (영어) 기본소득과 창조적 예술

  • 좌장: 힐데 라투르(기본소득지구네트워크)
  • 샘 화이팅(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대, 오스트레일리아 기본소득실험실), “예술에 대한 투자: 21세기에 문화 노동을 지속시키기”
  • 크리스티나 히리로이넨, “양심 — 나의 이력서” (온라인)
  • 목화균(기본소득원정대), “기본소득을 받는 예술가들은 자신의 기본소득을 공동체에 되갚을 수 있는가?”

CS 4. (영어) (도서 초고 검토 워크숍) “한국에서 실현 가능한 기본소득 계획: 자유, 평등, 지속가능한 효율성 증진을 위해” (1): 이론적 프레임워크

  • 사회: 이승윤(중앙대학교)
  • 저자: 유종성(가천대학교), 강남훈(한신대학교), 이승주(대구대학교)
  • 토론: 위르겐 데 비르펠레레(프라이부르크대학교), 트로이 헨더슨(시드니대학교), 이수미(라베른대학교), 애니 밀러(영국 시민기본소득트러스트), 가이 스탠딩(런던대학교 동양아프리카연구학교), 필리프 판 파레이스(루뱅대학교), 칼 와이더키스트(조지타운대학교 카타르캠퍼스), 알마즈 젤레케(뉴욕대학교 상하이캠퍼스)

8월 24일 목요일 17:00-18:30 (8:00-9:30 GMT)

CS 5. (영어) 현실에서 기본소득 프레이밍하기 2

  • 좌장: 이승윤(중앙대학교)
  • 마테오 피노키(마체라타대학교), “이탈리아의 극우와 기본소득” (온라인)
  • 에티엔 베르테(프랑스 기본소득운동), “전 세계 기본소득 실험들을 톺아보기: 종합을 위한 하나의 시도” (온라인)
  • 라인하르트 후스(리즈 기본소득실험실, 기본소득유럽네트워크), “녹색 사회로의 정의로운 전환을 위한 설득력 있는 도구가 되기 위해 보편적 기본소득의 프레이밍, 재원 마련, 전달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 (온라인)
  • 카이 풍(베를린기본소득행진), “진보주의자와 보수주의자을 가르는 리트머스 시험지로서의 보편적 기본소득: 시스템 이론적 관점” (온라인)

CS 6. (영어) 기본소득, 기후정의, 정치철학

  • 좌장: 조르헤 핀투(미뉴대학교)
  • 스텔라 그멕페비 가불랴(뱅고르대학교), 헤핀 그윌림(뱅고르대학교), “기후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정의로운 전환에서 기본소득의 역할” (온라인)
  • 니컬라스 랑그리지(바스대학교), “포스트성장 보편적 기본소득: 급진적 전망과 경험적 증거 사이의 간극 메우기” (온라인)

CS 7. (영어) 기본소득, 불평등, 빈곤 1

  • 좌장: 이수미(라베른대학교)
  • 드니 콩시니(보편자본을 위한 세대간협회), “자본 증여는 기본소득의 필수적인 보완재인가?” (온라인)
  • 필리포 그리솔리아(안트베르펜대학교), 사라 드바흐터(안트베르펜대학교), 나탈리 홀보트(안트베르펜대학교), “모두가 영원히 빈곤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우간다 농촌지역 기본소득 실험의 집단 효과의 지속가능성 평가” (온라인)
  • 오토 레흐토(뉴욕대학교), “기본소득 수령인들에게 인간 향상 기술(HETs) 실험에 대한 권리가 있어야 하는가?” (온라인)
  • 외른 헨드릭스(기본소득기금), “빈곤에 맞서기 위해 자본이 재원을 대는 보편적 기본소득 기금을 설립하기”

CS 8. (한국어) (라운드테이블) 공유지와 기본소득

  • 좌장: 한인정(가톨릭대학교)
  • 정영신(가톨릭대학교), “공유지의 관점에서 본 기본소득”
  • 안효상(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 “기본소득의 관점에서 본 공유지”
  • 패널: 윤여일(제주대학교), 박서현(제주대학교), 서정희(군산대학교)

8월 25일 금요일 07:30-09:00 (22:30-0:00 GMT)

CS 9. (영어) 기본소득, 불평등, 빈곤 2

  • 좌장: 엔리코 니켈라티(헬싱키대학교)
  • 루이즈 구스타보 다 쿠냐 데 소우자(산타카타리나연방대학교), “보편적 기본소득은 어떤 불평등에 도전하는가?: 인정이론적 접근”
  • 사나야 피셔(캐나다 기본소득청년네트워크), “세대간 트라우마와 빈곤의 순환을 끊어내기: 캐나다 아동복지시스템에 대한 기본소득의 잠재적 영향”
  • 페르난두 프레이타스(플루미넨세연방대학교), 폴 카츠(제인패밀리연구소), 제시카 말도나두(플루미넨세연방대학교), “누가 가장 많이 받을 자격이 있는가? 낙인과 마리카 시민기본소득의 권리 강화”
  • 레아 해밀턴(애팔래치아주립대학교), “기본소득의 장기 효과에 대한 이해: 허드슨업(HudsonUP) 파일럿에서의 통찰”

CS 10. (영어) 기본소득, 불평등, 정치

  • 좌장: 리즈 푹스만(킹스 칼리지 런던)
  • 루이즈 아넬리 주니어(RBRB), “브라질의 노예제: 기본소득에 대한 하나의 관점”
  • 마리아 오자니라 다 실바 에 실바(마란항연방대학교), “브라질 현금 이전 프로그램들과 동시에 실시되는 새로운 ‘보우사 파밀리아’”
  • 글로리아 산체스-케바스(칼턴대학교), “기본소득의 정치학을 해부하기: 다양한 가치들과 시행 경로들”

8월 25일 금요일 09:00-10:30 (0:00-1:30 GMT)

CS 11. (한국어) 기본소득과 디지털/플랫폼 자본주의

  • 좌장: 최승호(충북연구원)
  • 김윤명(경희대학교), “데이터셋의 공정이용과 보상금 청구권”
  • 이주희(이화여자대학교), “청년 플랫폼노동자의 기본소득에 대한 태도 및 영향요인”
  • 최기훈(경기연구원), “기본소득의 필요: 인공 지능과 디지털 전환을 통해 다음 발걸음을 내딛기”

CS 12. (영어) 기본소득의 현실적 실현 가능성

  • 좌장: 비보 머터(바스대학교)
  • 칼 와이더키스트(조지타운대학교 카타르캠퍼스), “재산의 문제”
  • 로빈 크라베(태즈메이니아 풍요로운 삶), “태즈메이니아 주 북서부의 참여소득 실험을 통한 전환과 관계 형성” (온라인)
  • 아누팜 크마르(크라이스트대학교), “장기적인 기본소득을 뒷받침하고 복지 프로그램을 합리화하기 위한 실증 연구” (온라인)
  • 유종성(가천대학교), 이승주(대구대학교), “참여소득으로서의 보편적 근로소득장려세제: 한국에서의 재정적 실현가능성과 기대효과”

CS 13. (영어) 기본소득, 공유지, 공유화 1

  • 좌장: 조문영(연세대학교)
  • 조민서(위스콘신대학교), “한국 복지 정치에서 ‘공유부 배당 기본소득’의 번역: 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의 궤적을 중심으로”
  • 예자빈(쑨얏센대학교), “인공지능 자본주의 시대의 기본소득”
  • 이승철(서울대학교), “‘천정 없는 바닥’을 넘어: ‘공유부 기본소득’의 부상과 과제”

8월 25일 금요일 10:30-12:00 (1:30-3:00 GMT)

CS 14. (한국어) 기본소득, 공유지, 공유화 2

  • 좌장: 유동철(동의대학교)
  • 이재섭(제주대학교), “공동자원을 활용한 기본소득론의 확장”
  • 남기업(토지+자유연구소), “한국적 상황에서 부동산 보유세의 한계와 대안으로서 토지배당”
  • 이진수(토지+자유연구소), “한국의 토지소유 집중도와 토지배당(토지기본소득)의 불평등 개선효과”

CS 15. (영어) 기본소득과 젠더

  • 좌장: 알마즈 젤레케(뉴욕대학교 상하이캠퍼스)
  • 클렘 데이비스(프라이부르크대학교), 마리아 프랑키(바스대학교), 클로이 할페니(퀸즈대학교), “이론에서 실천으로: 보편적 기본소득 도입에 페미니즘 원리를 포함하기”
  • 클로이 할페니(퀸즈대학교), “우리는 서로를 돌봐야 하며, 그것이야말로 이 프로그램이 지원하려던 것입니다: 장애인 여성의 온타리오 기본소득 파일럿 경험”
  • 올가 렌체브스카(노스캐롤라이나대학교), “무조건적 현금 이전과 여성의 선택: 새로운 실증 데이터를 평가하기”
  • 레티샤 모랄레스(칠레 아우스트랄대학교), “기본소득 체제에서 젠더-젠더 교환”

CS 16. (영어) 기본소득의 경제학 1

  • 좌장: 가이 스탠딩(런던대학교 동양아프리카연구학교)
  • 트로이 헨더슨(시드니대학교), “기본소득의 거시경제학 — 잃어버린 고리인가, 헛수고인가?”
  • 훌리오 리나레스(기본소득지구네트워크), “지방자치체 기본소득을 향하여”
  • 루치아노 카르멘트(시드니대학교), “기본소득은 인플레이션을 초래하는가?” (온라인)

8월 25일 금요일 13:00-14:30 (4:00-5:30 GMT)

CS 17. (동시통역) (라운드테이블) 청년 정치와 기본소득: “나는 왜 기본소득 정치를 하는가?”

  • 사회: 류보선(군산대학교)
  • 패널: 김한별, 노서영, 문현철, 서태성, 신원호, 신지혜, 양지혜, 윤김진서, 홍순영, 황법량

CS 18. (영어) 기본소득, 불평등, 빈곤 3

  • 좌장: 이건민(서울대학교)
  • 벤저민 얼(기본소득캐나다네트워크), “캐나다의 식량 불안에 대한 대응책으로서의 기본소득이 처한 현실”
  • 비보 머터(바스대학교), “인도 도시 지역의 (부)자유, (비)존엄, (비)양질의 노동에 대한 무조건적 기본소득의 효과 탐색”
  • 클로이 할페니(퀸즈대학교), 엘리인 파워(퀸즈대학교), “(저녁) 식탁의 한 자리: 음식, 먹기 그리고 온타리오 기본소득 파일럿”

CS 19. (영어) 기본소득의 정치학 1

  • 좌장: 타일러 프로차스카(타이완국립정치대학교)
  • 브루노 올리베이라(포르투갈 사회학조사연구센터), “유럽의 기본소득: 사회 혁신의 출현으로 이어지는 요인들”
  • 피터 브레이크(보편적 자격 재단), “보편적 기본소득을 지급하기 위해 부자에게 과세하기”
  • 이소벨 프라이, “정책 협상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선별적 사회구제기금에 대한 연구”
  • 피터 나이트(기본소득지구네트워크), “미국 전진당의 핵심 원칙에서 기본소득은 어떻게 빠졌으며, 어떻게 되돌릴 수 있는가?”

8월 25일 금요일 18:30-20:00 (9:30-11:00 GMT)

CS 20. (영어) 보편적 기본소득의 경제적 비용과 편익

  • 좌장: 호베르투 메릴(미뉴대학교 윤리정치사회센터)
  • 카타리나 네베스(미뉴대학교 윤리정치사회센터), “기본소득에 대해 우리가 여전히 알아야 할 것: 재원 마련 문제와 무조건적 현금의 장기 영향”
  • 카를라 코스타(리스보아대학교 고등사회정치과학원), 페드로 쿨라르트(리스보아대학교 행정공공정책센터), “보편적 기본소득의 경험들: 비교 분석과 맥락의 중요성”
  • 티아고 수자(미뉴대학교 윤리정치사회센터), “생태적 사회경제적 정의의 촉진자로서의 보편적 기본소득안”

CS 21. (영어) 기본소득, 불평등, 빈곤 4

  • 좌장: 라인하르트 후스(리즈 기본소득실험실, 기본소득유럽네트워크)
  • 마렉 흐루벡(체코과학아카데미철학연구소), “소유권에 대한 불평등한 접근에 맞서는 기본소득”
  • 야스미나 예란트(류블라냐대학교), “기본소득과 청년들의 사회적 웰빙”
  • 오토 레흐토(뉴욕대학교), “질서자유주의와 기본소득: 역사로부터의 교훈과 미래 전망”

CS 22. (영어) 기본소득의 경제학 2

  • 좌장: 야마모리 도루(도시샤대학교)
  • 조제 로차(미뉴대학교 사법 및 거버넌스 연구센터), “은행, 대출, 신용카드 등 보편적 기본소득의 천적들: 입법자들이 고려해야 할 것”
  • 해리 맥라버티(트랜센던스), “사회경제적 전환 이후의 전 지구적 세금”
  • 로맹 토르(싱크탱크), “기본소득의 재원이 화폐 발행으로 마련되어야 하는 이유와 방법”

CS 23. (영어) 기본소득의 정치학 2

  • 좌장: 레아 해밀턴(애팔래치아주립대학교)
  • 리즈 푹스만(킹스 칼리지 런던), “‘공짜는 없다’: 고용유지지원이 끝난 후 런던의 동유럽 이주노동자들의 노동과 기본소득에 대한 도덕적 관점”
  • 프란치스카 가스만(마스트리히트대학교), “기본소득의 수용 가능성에 대한 프레이밍 및 설계 매개변수의 관련성: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사례”
  • 엔리코 니켈라티(헬싱키대학교), “어떻게 완벽한 기본소득 실험을 시행할 수 있는가?: 4개 국가의 증거”
  • 숀 크리스토퍼 비질(카를로바대학교), “기본소득과 좋은 삶의 개념”

8월 25일 금요일 20:00-21:30 (11:00-12:30 GMT)

CS 24. (영어) (라운드테이블) 기본소득에 대한 경험적 접근: 질적-재구성적 연구의 경우는?

  • 사회: 마누엘 프란츠만(킬대학교), 한나 케테러(예나대학교)
  • 패널: 빅토리아 볼먼(청년재단 전 연구책임자), 조민서(위스콘신대학교), 라비 고카니(레이크헤드대학교)

* 이 라운드테이블은 기본소득 연구에 대한 양적 재구성 접근법의 강점과 한계를 성찰하는 공간이다.

CS 25. (영어) 기본소득, 불평등, 빈곤 5

  • 좌장: 다이애나 바수어(기본소득지구네트워크)
  • 베레나 뢰플러(뮌스터대학교), “기본소득과 집 없음: 최악의 사람들의 상황을 개선하기”
  • 콘라드 리델(바르샤바대학교), 마렉 카츠마르칙(바르샤바대학교), “보편적 기본소득과 평등의 원리”
  • 알렉스 우레케(아동 지원과 발전), “보편적 기본소득을 할 것인가 말 것인가?: 루마니아 농촌 지역에서 가치를 창출해내는 보편적 기본소득”

CS 26. (영어) 기본소득 운동과 사례 연구

  • 좌장: 마테오 피노키(마체라티대학교)
  • 카렌 주스트(올바른 소득 분배 운동), “파일럿을 넘어 기본소득 운동을 진전시키기”
  • 엔리코 니켈라티(헬싱키대학교),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의 위기 충격 완화를 위한 보편적 기본소득의 역할: 우간다와 잠비아의 증거”
  • 프란치스카 레오폴트(프라이부르크대학교 기본소득연구소), “독일어권 국가들에서 보편적 기본소득에 대한 정치적 참여를 가로막는 장벽들”

8월 26일 토요일 09:00-10:30 (0:00-1:30 GMT)

CS 27. (한국어) 기본소득 국가 사례: 한국

  • 좌장: 이주희(이화여자대학교)
  • 유영성(경기연구원), “2022년 경기도 청년기본소득의 정책 효과: 이중차분법과 성향점수매칭의 적용”
  • 이상준(한국직업능력연구원), “증여론과 희생제의 관점에서 본 기본소득의 상호주의”
  • 최승호(충북연구원), “기후변화 위기 대응 한국 주민참여형 재생에너지 개발사업의 이익공유 사례 연구”

CS 28. (영어) 기본소득의 정치학 3

  • 좌장: 위르겐 데 비스펠레레(프라이부르크대학교)
  • 장지은(탐페레대학교), “프레카리아트의 협상력에 대한 기본소득의 역동적 역할”
  • 이수미(라베른대학교), “기본소득에 대한 대중의 관심과 감정을 추적하기: 미국의 구글 및 트위터 데이터를 활용하여”
  • 타일러 프로차스카(타이완국립정치대학교), “새로운 기본소득 정책들의 지역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보편적 기본소득 정책들을 국내 맥락에 적용하기”
  • 뱌체슬라브 보브코프(러시아과학아카데미경제연구소), 엘레나 오딘트소바(러시아과학아카데미경제연구소), 세르게이 졸로토프(니즈니 노보고르드 로바체프스키대학교), “보편적 기본소득: 러시아에게도 기회가 있는가?” (온라인)

CS 29. (영어) 기본소득의 정치학 4

  • 좌장: 사라트 다발라(기본소득지구네트워크)
  • 우지웨이(타이완 기본소득네트워크), “변화를 옹호하기: 타이완 기본소득네트워크가 무조건적 기본소득에 대한 다양한 이해당사자들을 한데 모으는 방법”
  • 양윤(타이완 기본소득네트워크), “민주주의적 정치로서의 소셜미디어: 타이완의 유사 보편적 기본소득 정책들에 대한 페이스북 내 정치적 의사소통”
  • 아드마수 아스카베 아베라(티베 에티오피아 SC), “모든 에티오피아인들, 아프리카인들, 그리고 인간들은 투자자다”
  • 칼 와이더키스트(조지타운대학교 카타르캠퍼스), “기본소득: 필수 지식”

8월 26일 토요일 10:30-12:00 (1:30-3:00 GMT)

CS 30. (한국어) 기본소득의 정치학 5

  • 좌장: 백학영(강원대학교)
  • 김민수, “코로나19 발생 이후 기본소득에 대한 인식은 변화되었을까?”
  • 김성훈(이화여자대학교), “기본소득제에 대한 대중적 수용도”
  • 백승호(가톨릭대학교), 서정희(군산대학교), 김지선(가톨릭대학교), 송치호(가톨릭대학교), “기본소득의 정치적 실현 가능성: 경기도 공론화 조사 분석”

CS 31. (영어) 기본소득, 기후정의, 재원 마련

  • 좌장: 훌리오 리나레스(기본소득지구네트워크)
  • 강원돈(한신대학교), “생태학적 지향을 갖는 기본소득 구상”
  • 이지은(중앙대학교), 한인정(가톨릭대학교), “생태적 전환의 맥락에서 기본소득과 공유부 배당 옹호의 의미: 한국의 청년 생태활동가들의 지각과 경험을 중심으로”
  • 오준호(기본소득정책연구소), “녹색 산업전환과 시민배당: 혁신과 분배의 선순환”
  • 안효상(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 “인류세 시대의 기후정의와 기본소득”

CS 32. (한국어) 농민기본소득, 농촌기본소득

  • 좌장: 남기업(토지+자유연구소)
  • 안선영(일생활균형연구소), 김영주(일생활균형연구소), 김주온(기본소득청‘소’년네트워크), 박경주(성공회대학교), 장은지(일생활균형연구소), “농어촌 청소년 생활실태 연구 — 경기도 청산면 농촌기본소득 경험을 중심으로”
  • 박경철(충남연구원), “한국 지방정부 농민기본소득정책의 배경, 현황, 향후 과제”
  • 윤형중(LAB2050), “경기도 청산면 농촌기본소득 효과 분석 연구의 설계와 결과”

8월 26일 토요일 13:00-14:30 (4:00-5:30 GMT)

CS 33. (동시통역) 문학과 기본소득: 시의 마음과 기본소득의 마음

  • 사회: 류보선(문학평론가, 군산대학교)
  • 김해자(시인), “일하지 않는 자여, 맛있게 먹어라 — 만인에게 기본소득을”
  • 이문재(시인, 경희대학교), “황금률과 ‘선물의 집’”
  • 황시운(소설가), “마음까지 어루만질 수 있는 복지”
  • 이명호(문학평론가, 경희대학교), “기본소득, 인간존재를 키우는 원소적 토대”
  • 신형철(문학평론가, 서울대학교), “김수영과 기본소득”

CS 34. (영어) 기본소득에 대한 국가별 사례 연구

  • 좌장: 조민서(위스콘신대학교)
  • 에이다 마르티네스 티나우트(카탈루냐 주정부), “파일럿 프로젝트 자체의 설계와 방법론”
  • 신기현(기본소득전북네트워크), “지속 가능한 기본소득은 가능한가? 한국 농촌지역 파일럿 3개의 지속가능성 비교 분석”
  • 위르겐 데 비스펠레레(프라이부르크대학교), 레티샤 모랄레스(칠레 아우스트랄대학교), 파비오 발텐베르크(플루멘세연방대학교), “독차지할 것인가? 팬데믹 시기 사회적 보호 수단으로서의 재난 기본소득과 보편적 기본소득”

CS 35. (영어) (도서 초고 검토 워크숍) “한국에서 실현 가능한 기본소득 계획: 자유, 평등, 지속가능한 효율성 증진을 위해” (2): 제안과 경험적 분석

  • 사회: 이수미(라베른대학교)
  • 저자: 유종성(가천대학교), 강남훈(한신대학교), 이승주(대구대학교)
  • 토론: 트로이 헨더슨(시드니대학교), 애니 밀러(영국 시민기본소득트러스트), 칼 와이더키스트(조지타운대학교 카타르캠퍼스), 호베르투 메릴(미뉴대학교)

CS 36. (영어) (라운드테이블) 워크프리: 인도 기본소득의 경험

  • 사회: 가이 스탠딩(런던대학교 동양아프리카연구학교)
  • 패널: 사라트 다발라(기본소득지구네트워크), 마리아 프랑키(바스대학교), 비보 머터(바스대학교)

* 이 라운드테이블에서는 인도 하이데라바드 워크프리 파일럿 팀이 중간 결과를 공유할 것이며, 기본소득을 현실화할 때의 실행계획, 정치, 방법, 효과 등을 탐색할 것이다.

img_Programme-Posters_Kor_BIENCongress2023_final
22nd BIEN Congress

Organized by

Basic Income Korean Network (BIKN)

Co-Hosts

22nd BIEN Congress LOC, Basic Income Policy Laboratory, The Institute for Democracy, National Assembly’s Basic Income Research Forum, Ewha Institute for Social Sciences

22nd BIEN Congress LOC

Basic Income Korean Network (BIKN), Basic Society, Basic Income Young Researchers Network, Basic Income Youth Network (BIYN), Millennials Political Forum, Institute for Basic Income Studies (IBIS), Institute for Inclusive Society, Institute for Political & Economic Alternatives, Institute of Land And Liberty, LAB2050, Modest Free-Persons, Peasant’s Basic Income Movement Headquarters, Media Dem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