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
참고 1. 세션 프로그램은 기본적으로 온라인-오프라인 하이브리드로 운영됩니다. 온라인으로만 운영되는 세션의 경우, 세션 그룹에 “(온라인)” 표시가 되어 있습니다.
참고 2. 모든 참가자는 지난 세션들을 다시보기 영상으로 볼 수 있습니다.
시간 & 강의실 | 세션명 |
---|---|
9:00 ECC극장 로비 |
참가 등록 |
10:00 (1:00 GMT) ECC극장 |
개회 |
사회: 이주희(이화여자대학교) | |
환영사 소병훈(국회기본소득연구포럼 대표), 정태호(민주연구원 원장), 용혜인(기본소득정책연구소 이사장), 한인정(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 |
|
축사 | |
대회 소개: 백승호(가톨릭대학교) | |
헌사 — 김종철을 기리며: 이문재(시인) | |
개막 연설 1. 애니 밀러(영국 시민기본소득트러스트), “개막의 성찰” | |
개막 연설 2. 필리프 판 파레이스(루뱅대학교), “기본소득: 연대에 반하는 자유?” | |
12:00-14:00 | 점심 |
14:00-15:30 (5:00-6:30 GMT) ECC극장 |
전체세션 1. 정치 속의 기본소득, 기본소득 속의 정치 |
좌장: 백승호(가톨릭대학교) | |
위르겐 데 비스펠레레(프라이부르크대학교), “기본소득 실험들: (지속되는) 정치적 약속을 보장하는 문제” | |
강남훈(기본사회), “탄소 중립과 기본소득” | |
루이즈 하그(요크대학교), “위기 시대의 기본소득의 정의와 실현가능성” (온라인) | |
15:30-16:00 | 휴식 (다과) |
16:00-17:30 (7:00-8:30 GMT) ECC극장 |
전체세션 2. 무조건적 기본소득과 공유부 배당 |
좌장: 고두갑(목포대학교) | |
가이 스탠딩(런던대학교 동양아프리카연구학교), “공유지 자본 기금 조성: 기본소득으로서의 공유지 배당” | |
서정희(군산대학교), “현실에서의 기본소득의 굴절과 위계” |
Time & Room | Session |
---|---|
10:00-12:00 (1:00-3:00 GMT) ECC 극장 |
전체세션 3. 문턱에 선 기본소득: 정책, 실험, 입법 |
좌장: 유종성(가천대학교) | |
용혜인(기본소득당 국회의원), “대한민국 기본소득 정치의 도전과 과제” | |
마이클 터브스(전 미국 스톡턴 시장), “미국의 보장소득 운동과 도시 정치: 민권운동과 반빈곤운동의 맥락에서” (온라인) | |
스콧 샌턴스(휴머니티 포워드), “보장의 씨앗 뿌리기: 기본소득은 어떻게 미국에서 지역 파일럿과 프로그램을 통해 뿌리를 내렸는가” | |
에이다 마르티네스 티나우트(스페인 카탈루냐 주정부), “카탈루냐 파일럿 프로젝트 설계: 오늘날의 맥락” | |
에두아르두 수플리시(브라질 전 상원의원), “브라질에서 보편적 기본소득의 실시로 향해가는 발걸음” | |
12:00-13:30 | 점심 |
13:30-15:00 (4:30-6:00 GMT) ECC극장 |
전체세션 4. 다중적 위기 시대의 기본소득 |
좌장: 이지은(중앙대학교) | |
조르헤 핀투(미뉴대학교), “유한성과 미래: 인간의 삶, 기본소득, 생태 위기” | |
금민(정치경제연구소 대안), “자본의 인공지능과 기본소득의 과제” | |
알마즈 젤레케(뉴욕대학교 상하이캠퍼스), “기본소득과 돌봄 위기” | |
15:00-16:30 (6:00-7:30 GMT) | 개별세션 A |
ECC극장 | 개별세션 1 |
B143 | 개별세션 2 |
B144 | 개별세션 3 |
B146 | 개별세션 4 |
16:30-17:00 | 휴식 (다과) |
17:00-18:30 (8:00-9:30 GMT) | 개별세션 B |
B143 | 개별세션 5 |
B144 | 개별세션 6 |
B146 | 개별세션 7 |
ECC극장 | 개별세션 8 |
시간 & 강의실 | 세션명 |
---|---|
07:30-09:00 (22:30-0:00 GMT) | 개별세션 C (온라인) |
개별세션 9 | |
개별세션 10 | |
09:00-10:30 (0:00-1:30 GMT) | 개별세션 D |
B143 | 개별세션 11 |
B144 | 개별세션 12 |
B146 | 개별세션 13 |
10:30-12:00 (1:30-3:00 GMT) | 개별세션 E |
B143 | 개별세션 14 |
B144 | 개별세션 15 |
B146 | 개별세션 16 |
12:00-13:00 | 점심 |
13:00-14:30 (4:00-5:30 GMT) | 개별세션 F |
ECC극장 | 개별세션 17 |
B143 | 개별세션 18 |
B144 | 개별세션 19 |
14:30-16:00 (5:30-7:00 GMT) ECC극장 | 전체세션 5. 한국의 기본소득 |
좌장: 알마즈 젤레케(뉴욕대학교 상하이캠퍼스) | |
이지수(군산대학교), “판동초 어린이 기본소득 실현과 의미” | |
서정희(군산대학교), “부산 청년기본소득 실험의 의미” | |
박웅두(농어민기본소득전국운동본부), “한국에서의 농민기본소득의 실현” | |
오준호(기본소득당), “한국 기본소득 운동의 정치적 도전” | |
16:00-16:30 | 휴식 (다과) |
16:30-18:00 (7:30-9:00 GMT) ECC극장 | 전체세션 6. (라운드테이블) 기본소득 실험들: 실험의 목표, 맥락, 방법에 관한 비판적 검토 |
사회: 호베르투 메릴(미뉴대학교) | |
패널: 가이 스탠딩(런던대학교 동양아프리카연구학교), 사라트 다발라(기본소득지구네트워크), 이수미(라베른대학교), 이건민(서울대학교) | |
18:30-20:00 (9:30-11:00 GMT) | 개별세션 G (온라인) |
개별세션 20 | |
개별세션 21 | |
개별세션 22 | |
개별세션 23 | |
20:00-21:30 (11:00-12:30 GMT) | 개별세션 H (온라인) |
개별세션 24 | |
개별세션 25 | |
개별세션 26 |
시간 & 강의실 | 세션명 |
---|---|
09:00-10:30 (0:00-1:30 GMT) | 개별세션 I |
B143 | 개별세션 27 |
B144 | 개별세션 28 |
B146 | 개별세션 29 |
10:30-12:00 (1:30-3:00 GMT) | 개별세션 J |
B143 | 개별세션 30 |
B144 | 개별세션 31 |
B146 | 개별세션 32 |
12:00-13:00 | 점심 |
13:00-14:30 (4:00-5:30 GMT) | 개별세션 K |
ECC극장 | 개별세션 33 |
B143 | 개별세션 34 |
B144 | 개별세션 35 |
B146 | 개별세션 36 |
14:30-16:00 (5:30-7:00 GMT) ECC극장 | 전체세션 7. 기본소득의 정의: 의미와 전망 |
좌장: 칼 와이더키스트(조지타운대학교 카타르캠퍼스) | |
애니 밀러(영국 시민기본소득트러스트), “오늘날 기본소득 정의의 개정을 위한 논거” | |
야마모리 도루(도시샤대학교), “기본소득의 정의에 관한 논의의 역사” (온라인) | |
16:00-17:30 (7:00-8:30 GMT) ECC극장 | 폐회 |
사회: 김주온(BIYN) | |
대회 리뷰. 사라트 다발라(기본소득지구네트워크) | |
폐회 연설. 안효상(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 “현실 속의 기본소득은 어떻게 가능한가?” |
개별세션 안내
8월 24일 목요일 15:00-16:30 (6:00-7:30 GMT)
CS 1. (한국어) 노동의 변화, 기본소득과 어떻게 만날까?
- 좌장: 용혜인(기본소득당 국회의원)
- 박정훈(라이더유니온), “플랫폼 노동”
- 홍종민(알바연대), “초단시간 노동”
- 전성신(사단법인 니트생활자), “니트, 일과 관계의 가치”
- 최승현(기본소득당, 노무사), “변화하는 노동, 기본소득 정치의 방향”
CS 2. (영어) 현실에서 기본소득 프레이밍하기 1
- 좌장: 김교성(중앙대학교)
- 밀레나 코바스카야(브로츠와프대학교), “무조건적 기본소득에 대한 시민들의 지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 앨리그젠더 이미히(주쿄대학교), “돈을 프레이밍하기: 사회를 기술하기 위해 루만경제학을 활용하기” (온라인)
- 텔레마크 마송-레시퐁(프랑스 사회과학고등연구원), “기본소득 실현에 필요한 연합을 위해 기본소득 정의를 명확히 하는 것은 얼마나, 어떤 이유로 필요한가?”
- 테이스 레넨(틸뷔르흐대학교, 가톨릭루뱅대학교), “기본소득의 인기: 여론조사에 기반한 증거”
CS 3. (영어) 기본소득과 창조적 예술
- 좌장: 힐데 라투르(기본소득지구네트워크)
- 샘 화이팅(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대, 오스트레일리아 기본소득실험실), “예술에 대한 투자: 21세기에 문화 노동을 지속시키기”
- 크리스티나 히리로이넨, “양심 — 나의 이력서” (온라인)
- 목화균(기본소득원정대), “기본소득을 받는 예술가들은 자신의 기본소득을 공동체에 되갚을 수 있는가?”
CS 4. (영어) (도서 초고 검토 워크숍) “한국에서 실현 가능한 기본소득 계획: 자유, 평등, 지속가능한 효율성 증진을 위해” (1): 이론적 프레임워크
- 사회: 이승윤(중앙대학교)
- 저자: 유종성(가천대학교), 강남훈(한신대학교), 이승주(대구대학교)
- 토론: 위르겐 데 비르펠레레(프라이부르크대학교), 트로이 헨더슨(시드니대학교), 이수미(라베른대학교), 애니 밀러(영국 시민기본소득트러스트), 가이 스탠딩(런던대학교 동양아프리카연구학교), 필리프 판 파레이스(루뱅대학교), 칼 와이더키스트(조지타운대학교 카타르캠퍼스), 알마즈 젤레케(뉴욕대학교 상하이캠퍼스)
8월 24일 목요일 17:00-18:30 (8:00-9:30 GMT)
CS 5. (영어) 현실에서 기본소득 프레이밍하기 2
- 좌장: 이승윤(중앙대학교)
- 마테오 피노키(마체라타대학교), “이탈리아의 극우와 기본소득” (온라인)
- 에티엔 베르테(프랑스 기본소득운동), “전 세계 기본소득 실험들을 톺아보기: 종합을 위한 하나의 시도” (온라인)
- 라인하르트 후스(리즈 기본소득실험실, 기본소득유럽네트워크), “녹색 사회로의 정의로운 전환을 위한 설득력 있는 도구가 되기 위해 보편적 기본소득의 프레이밍, 재원 마련, 전달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 (온라인)
- 카이 풍(베를린기본소득행진), “진보주의자와 보수주의자을 가르는 리트머스 시험지로서의 보편적 기본소득: 시스템 이론적 관점” (온라인)
CS 6. (영어) 기본소득, 기후정의, 정치철학
- 좌장: 조르헤 핀투(미뉴대학교)
- 스텔라 그멕페비 가불랴(뱅고르대학교), 헤핀 그윌림(뱅고르대학교), “기후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정의로운 전환에서 기본소득의 역할” (온라인)
- 니컬라스 랑그리지(바스대학교), “포스트성장 보편적 기본소득: 급진적 전망과 경험적 증거 사이의 간극 메우기” (온라인)
CS 7. (영어) 기본소득, 불평등, 빈곤 1
- 좌장: 이수미(라베른대학교)
- 드니 콩시니(보편자본을 위한 세대간협회), “자본 증여는 기본소득의 필수적인 보완재인가?” (온라인)
- 필리포 그리솔리아(안트베르펜대학교), 사라 드바흐터(안트베르펜대학교), 나탈리 홀보트(안트베르펜대학교), “모두가 영원히 빈곤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우간다 농촌지역 기본소득 실험의 집단 효과의 지속가능성 평가” (온라인)
- 오토 레흐토(뉴욕대학교), “기본소득 수령인들에게 인간 향상 기술(HETs) 실험에 대한 권리가 있어야 하는가?” (온라인)
- 외른 헨드릭스(기본소득기금), “빈곤에 맞서기 위해 자본이 재원을 대는 보편적 기본소득 기금을 설립하기”
CS 8. (한국어) (라운드테이블) 공유지와 기본소득
- 좌장: 한인정(가톨릭대학교)
- 정영신(가톨릭대학교), “공유지의 관점에서 본 기본소득”
- 안효상(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 “기본소득의 관점에서 본 공유지”
- 패널: 윤여일(제주대학교), 박서현(제주대학교), 서정희(군산대학교)
8월 25일 금요일 07:30-09:00 (22:30-0:00 GMT)
CS 9. (영어) 기본소득, 불평등, 빈곤 2
- 좌장: 엔리코 니켈라티(헬싱키대학교)
- 루이즈 구스타보 다 쿠냐 데 소우자(산타카타리나연방대학교), “보편적 기본소득은 어떤 불평등에 도전하는가?: 인정이론적 접근”
- 사나야 피셔(캐나다 기본소득청년네트워크), “세대간 트라우마와 빈곤의 순환을 끊어내기: 캐나다 아동복지시스템에 대한 기본소득의 잠재적 영향”
- 페르난두 프레이타스(플루미넨세연방대학교), 폴 카츠(제인패밀리연구소), 제시카 말도나두(플루미넨세연방대학교), “누가 가장 많이 받을 자격이 있는가? 낙인과 마리카 시민기본소득의 권리 강화”
- 레아 해밀턴(애팔래치아주립대학교), “기본소득의 장기 효과에 대한 이해: 허드슨업(HudsonUP) 파일럿에서의 통찰”
CS 10. (영어) 기본소득, 불평등, 정치
- 좌장: 리즈 푹스만(킹스 칼리지 런던)
- 루이즈 아넬리 주니어(RBRB), “브라질의 노예제: 기본소득에 대한 하나의 관점”
- 마리아 오자니라 다 실바 에 실바(마란항연방대학교), “브라질 현금 이전 프로그램들과 동시에 실시되는 새로운 ‘보우사 파밀리아’”
- 글로리아 산체스-케바스(칼턴대학교), “기본소득의 정치학을 해부하기: 다양한 가치들과 시행 경로들”
8월 25일 금요일 09:00-10:30 (0:00-1:30 GMT)
CS 11. (한국어) 기본소득과 디지털/플랫폼 자본주의
- 좌장: 최승호(충북연구원)
- 김윤명(경희대학교), “데이터셋의 공정이용과 보상금 청구권”
- 이주희(이화여자대학교), “청년 플랫폼노동자의 기본소득에 대한 태도 및 영향요인”
- 최기훈(경기연구원), “기본소득의 필요: 인공 지능과 디지털 전환을 통해 다음 발걸음을 내딛기”
CS 12. (영어) 기본소득의 현실적 실현 가능성
- 좌장: 비보 머터(바스대학교)
- 칼 와이더키스트(조지타운대학교 카타르캠퍼스), “재산의 문제”
- 로빈 크라베(태즈메이니아 풍요로운 삶), “태즈메이니아 주 북서부의 참여소득 실험을 통한 전환과 관계 형성” (온라인)
- 아누팜 크마르(크라이스트대학교), “장기적인 기본소득을 뒷받침하고 복지 프로그램을 합리화하기 위한 실증 연구” (온라인)
- 유종성(가천대학교), 이승주(대구대학교), “참여소득으로서의 보편적 근로소득장려세제: 한국에서의 재정적 실현가능성과 기대효과”
CS 13. (영어) 기본소득, 공유지, 공유화 1
- 좌장: 조문영(연세대학교)
- 조민서(위스콘신대학교), “한국 복지 정치에서 ‘공유부 배당 기본소득’의 번역: 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의 궤적을 중심으로”
- 예자빈(쑨얏센대학교), “인공지능 자본주의 시대의 기본소득”
- 이승철(서울대학교), “‘천정 없는 바닥’을 넘어: ‘공유부 기본소득’의 부상과 과제”
8월 25일 금요일 10:30-12:00 (1:30-3:00 GMT)
CS 14. (한국어) 기본소득, 공유지, 공유화 2
- 좌장: 유동철(동의대학교)
- 이재섭(제주대학교), “공동자원을 활용한 기본소득론의 확장”
- 남기업(토지+자유연구소), “한국적 상황에서 부동산 보유세의 한계와 대안으로서 토지배당”
- 이진수(토지+자유연구소), “한국의 토지소유 집중도와 토지배당(토지기본소득)의 불평등 개선효과”
CS 15. (영어) 기본소득과 젠더
- 좌장: 알마즈 젤레케(뉴욕대학교 상하이캠퍼스)
- 클렘 데이비스(프라이부르크대학교), 마리아 프랑키(바스대학교), 클로이 할페니(퀸즈대학교), “이론에서 실천으로: 보편적 기본소득 도입에 페미니즘 원리를 포함하기”
- 클로이 할페니(퀸즈대학교), “우리는 서로를 돌봐야 하며, 그것이야말로 이 프로그램이 지원하려던 것입니다: 장애인 여성의 온타리오 기본소득 파일럿 경험”
- 올가 렌체브스카(노스캐롤라이나대학교), “무조건적 현금 이전과 여성의 선택: 새로운 실증 데이터를 평가하기”
- 레티샤 모랄레스(칠레 아우스트랄대학교), “기본소득 체제에서 젠더-젠더 교환”
CS 16. (영어) 기본소득의 경제학 1
- 좌장: 가이 스탠딩(런던대학교 동양아프리카연구학교)
- 트로이 헨더슨(시드니대학교), “기본소득의 거시경제학 — 잃어버린 고리인가, 헛수고인가?”
- 훌리오 리나레스(기본소득지구네트워크), “지방자치체 기본소득을 향하여”
- 루치아노 카르멘트(시드니대학교), “기본소득은 인플레이션을 초래하는가?” (온라인)
8월 25일 금요일 13:00-14:30 (4:00-5:30 GMT)
CS 17. (동시통역) (라운드테이블) 청년 정치와 기본소득: “나는 왜 기본소득 정치를 하는가?”
- 사회: 류보선(군산대학교)
- 패널: 김한별, 노서영, 문현철, 서태성, 신원호, 신지혜, 양지혜, 윤김진서, 홍순영, 황법량
CS 18. (영어) 기본소득, 불평등, 빈곤 3
- 좌장: 이건민(서울대학교)
- 벤저민 얼(기본소득캐나다네트워크), “캐나다의 식량 불안에 대한 대응책으로서의 기본소득이 처한 현실”
- 비보 머터(바스대학교), “인도 도시 지역의 (부)자유, (비)존엄, (비)양질의 노동에 대한 무조건적 기본소득의 효과 탐색”
- 클로이 할페니(퀸즈대학교), 엘리인 파워(퀸즈대학교), “(저녁) 식탁의 한 자리: 음식, 먹기 그리고 온타리오 기본소득 파일럿”
CS 19. (영어) 기본소득의 정치학 1
- 좌장: 타일러 프로차스카(타이완국립정치대학교)
- 브루노 올리베이라(포르투갈 사회학조사연구센터), “유럽의 기본소득: 사회 혁신의 출현으로 이어지는 요인들”
- 피터 브레이크(보편적 자격 재단), “보편적 기본소득을 지급하기 위해 부자에게 과세하기”
- 이소벨 프라이, “정책 협상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선별적 사회구제기금에 대한 연구”
- 피터 나이트(기본소득지구네트워크), “미국 전진당의 핵심 원칙에서 기본소득은 어떻게 빠졌으며, 어떻게 되돌릴 수 있는가?”
8월 25일 금요일 18:30-20:00 (9:30-11:00 GMT)
CS 20. (영어) 보편적 기본소득의 경제적 비용과 편익
- 좌장: 호베르투 메릴(미뉴대학교 윤리정치사회센터)
- 카타리나 네베스(미뉴대학교 윤리정치사회센터), “기본소득에 대해 우리가 여전히 알아야 할 것: 재원 마련 문제와 무조건적 현금의 장기 영향”
- 카를라 코스타(리스보아대학교 고등사회정치과학원), 페드로 쿨라르트(리스보아대학교 행정공공정책센터), “보편적 기본소득의 경험들: 비교 분석과 맥락의 중요성”
- 티아고 수자(미뉴대학교 윤리정치사회센터), “생태적 사회경제적 정의의 촉진자로서의 보편적 기본소득안”
CS 21. (영어) 기본소득, 불평등, 빈곤 4
- 좌장: 라인하르트 후스(리즈 기본소득실험실, 기본소득유럽네트워크)
- 마렉 흐루벡(체코과학아카데미철학연구소), “소유권에 대한 불평등한 접근에 맞서는 기본소득”
- 야스미나 예란트(류블라냐대학교), “기본소득과 청년들의 사회적 웰빙”
- 오토 레흐토(뉴욕대학교), “질서자유주의와 기본소득: 역사로부터의 교훈과 미래 전망”
CS 22. (영어) 기본소득의 경제학 2
- 좌장: 야마모리 도루(도시샤대학교)
- 조제 로차(미뉴대학교 사법 및 거버넌스 연구센터), “은행, 대출, 신용카드 등 보편적 기본소득의 천적들: 입법자들이 고려해야 할 것”
- 해리 맥라버티(트랜센던스), “사회경제적 전환 이후의 전 지구적 세금”
- 로맹 토르(싱크탱크), “기본소득의 재원이 화폐 발행으로 마련되어야 하는 이유와 방법”
CS 23. (영어) 기본소득의 정치학 2
- 좌장: 레아 해밀턴(애팔래치아주립대학교)
- 리즈 푹스만(킹스 칼리지 런던), “‘공짜는 없다’: 고용유지지원이 끝난 후 런던의 동유럽 이주노동자들의 노동과 기본소득에 대한 도덕적 관점”
- 프란치스카 가스만(마스트리히트대학교), “기본소득의 수용 가능성에 대한 프레이밍 및 설계 매개변수의 관련성: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사례”
- 엔리코 니켈라티(헬싱키대학교), “어떻게 완벽한 기본소득 실험을 시행할 수 있는가?: 4개 국가의 증거”
- 숀 크리스토퍼 비질(카를로바대학교), “기본소득과 좋은 삶의 개념”
8월 25일 금요일 20:00-21:30 (11:00-12:30 GMT)
CS 24. (영어) (라운드테이블) 기본소득에 대한 경험적 접근: 질적-재구성적 연구의 경우는?
- 사회: 마누엘 프란츠만(킬대학교), 한나 케테러(예나대학교)
- 패널: 빅토리아 볼먼(청년재단 전 연구책임자), 조민서(위스콘신대학교), 라비 고카니(레이크헤드대학교)
* 이 라운드테이블은 기본소득 연구에 대한 양적 재구성 접근법의 강점과 한계를 성찰하는 공간이다.
CS 25. (영어) 기본소득, 불평등, 빈곤 5
- 좌장: 다이애나 바수어(기본소득지구네트워크)
- 베레나 뢰플러(뮌스터대학교), “기본소득과 집 없음: 최악의 사람들의 상황을 개선하기”
- 콘라드 리델(바르샤바대학교), 마렉 카츠마르칙(바르샤바대학교), “보편적 기본소득과 평등의 원리”
- 알렉스 우레케(아동 지원과 발전), “보편적 기본소득을 할 것인가 말 것인가?: 루마니아 농촌 지역에서 가치를 창출해내는 보편적 기본소득”
CS 26. (영어) 기본소득 운동과 사례 연구
- 좌장: 마테오 피노키(마체라티대학교)
- 카렌 주스트(올바른 소득 분배 운동), “파일럿을 넘어 기본소득 운동을 진전시키기”
- 엔리코 니켈라티(헬싱키대학교),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의 위기 충격 완화를 위한 보편적 기본소득의 역할: 우간다와 잠비아의 증거”
- 프란치스카 레오폴트(프라이부르크대학교 기본소득연구소), “독일어권 국가들에서 보편적 기본소득에 대한 정치적 참여를 가로막는 장벽들”
8월 26일 토요일 09:00-10:30 (0:00-1:30 GMT)
CS 27. (한국어) 기본소득 국가 사례: 한국
- 좌장: 이주희(이화여자대학교)
- 유영성(경기연구원), “2022년 경기도 청년기본소득의 정책 효과: 이중차분법과 성향점수매칭의 적용”
- 이상준(한국직업능력연구원), “증여론과 희생제의 관점에서 본 기본소득의 상호주의”
- 최승호(충북연구원), “기후변화 위기 대응 한국 주민참여형 재생에너지 개발사업의 이익공유 사례 연구”
CS 28. (영어) 기본소득의 정치학 3
- 좌장: 위르겐 데 비스펠레레(프라이부르크대학교)
- 장지은(탐페레대학교), “프레카리아트의 협상력에 대한 기본소득의 역동적 역할”
- 이수미(라베른대학교), “기본소득에 대한 대중의 관심과 감정을 추적하기: 미국의 구글 및 트위터 데이터를 활용하여”
- 타일러 프로차스카(타이완국립정치대학교), “새로운 기본소득 정책들의 지역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보편적 기본소득 정책들을 국내 맥락에 적용하기”
- 뱌체슬라브 보브코프(러시아과학아카데미경제연구소), 엘레나 오딘트소바(러시아과학아카데미경제연구소), 세르게이 졸로토프(니즈니 노보고르드 로바체프스키대학교), “보편적 기본소득: 러시아에게도 기회가 있는가?” (온라인)
CS 29. (영어) 기본소득의 정치학 4
- 좌장: 사라트 다발라(기본소득지구네트워크)
- 우지웨이(타이완 기본소득네트워크), “변화를 옹호하기: 타이완 기본소득네트워크가 무조건적 기본소득에 대한 다양한 이해당사자들을 한데 모으는 방법”
- 양윤(타이완 기본소득네트워크), “민주주의적 정치로서의 소셜미디어: 타이완의 유사 보편적 기본소득 정책들에 대한 페이스북 내 정치적 의사소통”
- 아드마수 아스카베 아베라(티베 에티오피아 SC), “모든 에티오피아인들, 아프리카인들, 그리고 인간들은 투자자다”
- 칼 와이더키스트(조지타운대학교 카타르캠퍼스), “기본소득: 필수 지식”
8월 26일 토요일 10:30-12:00 (1:30-3:00 GMT)
CS 30. (한국어) 기본소득의 정치학 5
- 좌장: 백학영(강원대학교)
- 김민수, “코로나19 발생 이후 기본소득에 대한 인식은 변화되었을까?”
- 김성훈(이화여자대학교), “기본소득제에 대한 대중적 수용도”
- 백승호(가톨릭대학교), 서정희(군산대학교), 김지선(가톨릭대학교), 송치호(가톨릭대학교), “기본소득의 정치적 실현 가능성: 경기도 공론화 조사 분석”
CS 31. (영어) 기본소득, 기후정의, 재원 마련
- 좌장: 훌리오 리나레스(기본소득지구네트워크)
- 강원돈(한신대학교), “생태학적 지향을 갖는 기본소득 구상”
- 이지은(중앙대학교), 한인정(가톨릭대학교), “생태적 전환의 맥락에서 기본소득과 공유부 배당 옹호의 의미: 한국의 청년 생태활동가들의 지각과 경험을 중심으로”
- 오준호(기본소득정책연구소), “녹색 산업전환과 시민배당: 혁신과 분배의 선순환”
- 안효상(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 “인류세 시대의 기후정의와 기본소득”
CS 32. (한국어) 농민기본소득, 농촌기본소득
- 좌장: 남기업(토지+자유연구소)
- 안선영(일생활균형연구소), 김영주(일생활균형연구소), 김주온(기본소득청‘소’년네트워크), 박경주(성공회대학교), 장은지(일생활균형연구소), “농어촌 청소년 생활실태 연구 — 경기도 청산면 농촌기본소득 경험을 중심으로”
- 박경철(충남연구원), “한국 지방정부 농민기본소득정책의 배경, 현황, 향후 과제”
- 윤형중(LAB2050), “경기도 청산면 농촌기본소득 효과 분석 연구의 설계와 결과”
8월 26일 토요일 13:00-14:30 (4:00-5:30 GMT)
CS 33. (동시통역) 문학과 기본소득: 시의 마음과 기본소득의 마음
- 사회: 류보선(문학평론가, 군산대학교)
- 김해자(시인), “일하지 않는 자여, 맛있게 먹어라 — 만인에게 기본소득을”
- 이문재(시인, 경희대학교), “황금률과 ‘선물의 집’”
- 황시운(소설가), “마음까지 어루만질 수 있는 복지”
- 이명호(문학평론가, 경희대학교), “기본소득, 인간존재를 키우는 원소적 토대”
- 신형철(문학평론가, 서울대학교), “김수영과 기본소득”
CS 34. (영어) 기본소득에 대한 국가별 사례 연구
- 좌장: 조민서(위스콘신대학교)
- 에이다 마르티네스 티나우트(카탈루냐 주정부), “파일럿 프로젝트 자체의 설계와 방법론”
- 신기현(기본소득전북네트워크), “지속 가능한 기본소득은 가능한가? 한국 농촌지역 파일럿 3개의 지속가능성 비교 분석”
- 위르겐 데 비스펠레레(프라이부르크대학교), 레티샤 모랄레스(칠레 아우스트랄대학교), 파비오 발텐베르크(플루멘세연방대학교), “독차지할 것인가? 팬데믹 시기 사회적 보호 수단으로서의 재난 기본소득과 보편적 기본소득”
CS 35. (영어) (도서 초고 검토 워크숍) “한국에서 실현 가능한 기본소득 계획: 자유, 평등, 지속가능한 효율성 증진을 위해” (2): 제안과 경험적 분석
- 사회: 이수미(라베른대학교)
- 저자: 유종성(가천대학교), 강남훈(한신대학교), 이승주(대구대학교)
- 토론: 트로이 헨더슨(시드니대학교), 애니 밀러(영국 시민기본소득트러스트), 칼 와이더키스트(조지타운대학교 카타르캠퍼스), 호베르투 메릴(미뉴대학교)
CS 36. (영어) (라운드테이블) 워크프리: 인도 기본소득의 경험
- 사회: 가이 스탠딩(런던대학교 동양아프리카연구학교)
- 패널: 사라트 다발라(기본소득지구네트워크), 마리아 프랑키(바스대학교), 비보 머터(바스대학교)
* 이 라운드테이블에서는 인도 하이데라바드 워크프리 파일럿 팀이 중간 결과를 공유할 것이며, 기본소득을 현실화할 때의 실행계획, 정치, 방법, 효과 등을 탐색할 것이다.